미대 졸업 후, 당신은 어떤 준비를 하고 있나요?
해마다 전국 미술대학교를 졸업하는 학생은 얼마나 될까요?
전문대학, 디자인학부, 순수미술인까지 포함하면 그 수는 약 4만 명에 달합니다. 매년 수만 명의 예비 작가와 디자이너가 사회로 배출되고 있습니다.
현재 활동 중인 미술인 수는?
- 한국미술협회 소속: 약 4만 명
- 비소속 미술인: 약 1만 명
- 총 활동 미술인: 약 5만 명
하지만 이 중 실제로 미술작품 판매로 생계를 유지하는 작가는 약 1,000명뿐입니다. 이 안에는 이미 작고한 작가도 포함되어 있습니다.
전업 작가로 살아남는 비율
졸업생 중 전업 작가를 꿈꾸는 비율은 약 10%입니다.
- 3년 이상 작업 지속: 약 5%
- 5년 이상 작업 지속: 약 2%
결국 100명 중 2명만이 5년 이상 작업을 지속한다는 현실을 마주하게 됩니다.
미술 전공자의 취업 진출 현황
- 디자인 관련 업계 취업: 약 15%
- 유사 직종 진출: 약 13%
- 비예술계 분야 진출 또는 구직 포기: 약 72%
의외로 많은 졸업생들이 전공 외 분야로 이동합니다. 미술 방문 교육, 보험, 세일즈, 자영업, 운송업, 플로리스트 등 그 폭은 매우 다양합니다.
당신은 어떤 선택을 할 것인가요?
지금 이 순간, 당신은 어떤 준비를 하고 있나요?
전업 작가로 나아갈 것인가요? 취업을 준비할 것인가요? 혹은 전공과 다른 새로운 길을 찾고 있나요?
미술대학 졸업 이후의 삶은 오직 ‘내가 선택한 방향’으로만 열립니다.
지금 이 순간, 방향을 잡지 않으면 미래는 흐릿해집니다.
당신의 다음 선택은 무엇인가요?
어떤 준비를 하고 있니?
해마다 전국미술대학교를 졸업하는 학생의 수가 몇 명일까요?
전문대학, 디자인학부, 순수미술인을 모두 포함 4만 여명이 된다고 합니다.
국내 미술인이 가장 많이 결집된 조직은 한국미술협회입니다.
이곳에 소속된 미술인은 몇 명이나 될까요?
한국미술협회는 약 4만명, 비소속 활동 미술인은 약 1만여명으로 추정되고 있으며,
미술작품으로 생계를 하는 미술인은 약 5만 명이 됩니다.
이중 미술작품 판매로 경제활동을 안정적으로 하는 작가는 약 1000여명으로,
작고 작가도 포함되어있습니다.
해마다 졸업하는 미술대학생 가운데,
전업 작가로 진로를 선택하는 학생은 전체 10%이며,
이 가운데 3년을 버티고 작업하는 학생은 5%
5년을 버티고 작업하는 작가는 2%라고 합니다.
그렇다면 미술을 전공으로 구직 활동 현황은 어떻게 될까요?
전체 15%가 디자인 관련업에 종사하며,
이 가운데 유사 직종으로 구직하는 학생은 13%
나머지는 구직을 포기하거나, 학업을 이어가거나, 아주 다른 분야로 진출하는 학생들입니다.
다른 분야로는
미술방문교육업, 보험업, 세일즈업, 운송업, 자동차업, 자영업, 플로리스트 등등 이 있습니다.
당신은 어떤 준비를 하고 있나요? 당신은 어떤 선택을 할 것 인가요?
미술대학교를 졸업하고 난 이후의 계획, 시작하였나요?
'NEWS' 카테고리의 다른 글
5편 작가는 어떻게 만들어지는가 – 전시보다 중요한 한 가지 (0) | 2019.01.22 |
---|---|
4편 꿈이 없던 미대생, 나는 무엇부터 시작해야 했을까? (0) | 2019.01.21 |
2편 “돈도 없으면서 왜 미술을 했을까?” – 그 시절 내가 묻고 싶던 질문 (1) | 2019.01.17 |
1편 미생물을 위하여 (0) | 2019.01.16 |
미술인 일자리 창출과 미술단체의 비전포럼 (0) | 2019.01.10 |